넷플릭스(Netflix)
- 처음에 검은 배경은 영화관에서 암실되는 것 연상시킨다. 초기의 로고를 보면 약간 위아래가 굴곡이 져있는데 이것 역시 영화관 round 스크린과 연상된다.
- 이는 처음에 두둥 소리로 집중시키고, 화면은 어둡게 만들어 시작전에 주목! 하는 느낌으로 집중시킨다.
- 로고 스타일은 한번 바뀌었으나 크게 바뀌진 않았다. 이는 X로 바꾼 트위터와 대비된다. 여전히 붉은색 글씨, N이라는 글자, 검은색 배경을 유지했다. 이는 브랜드 이미지를 쌓아왔던 것을 유지하는 동시에 Netflix만큼 긴 글자보다는 N으로 길이가 짧은 로고를 만들어서 가로로 긴 걸 쓸 수 없을때, 정사각형 로고가 필요할 것 같다 여기고 만든 것같다. 이 로고는 새로 만드는 모바일 게임에도 쓰이고 있다.
정사각형용 로고
탐솔루션-병원브랜딩ㅣ병원마케팅ㅣ병원블로그ㅣ병원홈페이지ㅣ병원유튜브ㅣ병원광고
병원을 생각하는 기업 탐솔루션. 병원마케팅, 병원개원, 병원광고, 병원브랜딩, 병원블로그, 병원홈페이지, 병원디자인, 치과마케팅, 한의원마케팅, 이비인후과마케팅, 피부과마케팅, 성형외과
www.tommso.com
- 이름은 net(연결)과 flick(영화, 가볍게 치다) 를 합쳐서 slang 처럼 회사명을 지은 게 독특하다.
- 갈수록 넷플릭스 특유의 상업화? 공장화 되는 전개가 있는 것 같다. 1,2화에 압도적으로 쏟아내고, 결말은 그냥저냥 마무리하는. 이는 콘텐츠가 넘치는 시대에 굳이 앞부분에 흥미를 끌지 않으면 보지 않는 사람들을 겨냥한 것 같다.
- 코로나로 넷플릭스는 엄청나게 성장했다. 사업의 성장기를 거치고 코로나가 끝나자 넷플릭스는 이제 안정기에 들어섰고, 더이상 계정 공유가 더 많은 사람들을 불러오지 못한다 판단해 금지시킨 것 같다.
넷플릭스, 계정 공유 금지해도 소비자 충성도 높였다
넷플릭스가 한국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장에서 이용자 충성도까지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넷플릭스, 티빙 등 주요 OTT 플랫폼은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이용자의 계정 공유를 금지했다.
www.bloter.net
- 넷플릭스 철학이 담긴 책 No rules, rules 를 보면 좋을 것 같다.(규칙 없는게 규칙)
- 여기서 조금 소름돋는 건 우리의 적은 수면시간이라고 되어있는데, 반대로 말하면 넷플릭스는 사람들의 수면을 양과 질을 떨어뜨리기 위해 혈안이 되어있다는 것이다. 이런 부분은 책 '도둑맞은 집중력' 에서 저격한다. (저격대상이 넷플릭스가 아니라 페이스북 같은 SNS 긴 했다.) 잠자는 소비자는 돈이 안되기에 자본주의는 우리의 잠을 줄이고 탈진시키기 위해 혈안이 되어가 우리에게 결국 악이 된다는 내용으로 나온다. 근데 이게 대놓고 주요 목표중 하나라니..
규칙 없음 | 리드 헤이스팅스 - 교보문고
규칙 없음 | 통제와 규정은, 무능력한 직원에게나 필요한 것! | 넷플릭스 CEO 리드 헤이스팅스의 첫 책 |넷플릭스 CEO 리드 헤이스팅스의 첫 책『규칙 없음』. 1997년 설립 당시, 넷플릭스는 우편으
product.kyobobook.co.kr
- 다양한 ott들 간의 경쟁이 있었지만 여전히 1위는 netflix가 굳건히 잡고있다. 이제 덩치로 밀어붙일 것이다.
쿠팡 깜짝 토종 1위, OTT 업계에 부는 지각변동…생존경쟁의 승자는 누구? - 테크42
OTT 업계가 성장 정체기를 맞이하며 구조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을 맞이했다. 눈에 띄는 부분은 쿠팡플레이의 약진이다. 이미 지난해부터 심상치 않은 이용자 확보 증가세를 보이더니 최근에는 넷
www.tech42.co.kr
- 오징어게임의 성공으로 보았을때 미술의 힘이 큰 것 같다. 오징어 게임 특유의 배색이 좋았다. 이는 돈 걱정 하지말고 디테일하게 작업할 수 있게하는 netflix의 운영방식 때문인것같다. 기존의 한국 영화 같은 경우 실패할 때 감독책임이다. 게다가 관객수와 손익분기점이 명확히 있어 실패에 대한 부담이 크다. 반면에 netflix는 성공했을때 수익을 다 가져가 버리긴 해도 일단 안정적으로 작품을 만들수 있게 해준다. 비용도 대주고 실패 책임도 묻지 않는다. 게다가 태그니티에 기반한 ott 특성한 실패가 티나지 않는다. 그냥 묻힐 뿐. 커리어가 없는 신인들에게는 안되어도 리스크가 없고 잘되면 포트폴리오로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작용했다.
- 넷플릭스는 왜 모바일 게임에 투자할까? 아마 태블릿으로 넷플릭스 보는 사람들을 겨냥한 것 같다. 영상 시청은 뇌가 수동적이고, 게임은 뇌가 능동적이 된다. 둘을 번갈아 할때 뇌는 안지치고 안지루하다. 그래서 둘이 계속 태블릿으로 반복하라고 만든 거 아닐까? 모바일 게임 대부분이 적당한 퀄리티로 자신들의 IP를 이용해 만들고 있다. 스토리적인 측면에서 추가적인 전개도 노리는 것 같다.
Google Play의 Netflix, Inc. 개발자 Android 앱
좋아하는 이야기 속으로 더 깊이 빠져들 수 있는 게임들을 소개합니다. 광고도, 앱 내 구매도 없는 자유를 누리세요. 넷플릭스 멤버십 하나면 충분합니다.
play.google.com
- 사람마다 포스터를 다르게 해서 AB 테스트를 계속해서 쓰고 있다.
넷플릭스의 A/B테스트
◻️ 주제 선택 이유
iamsangji.oopy.io
- Z축구성과 F축 구성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Z축 구성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리고 전체적으로 한번 훑게 만드는 걸 의미한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우리의 시선은 이동한다. 그걸 노려서 일부러 필요한 창들은 다 오른쪽에 두었다. 왼쪽 콘텐츠들을 한번이라도 더 보라고. F축 구성은 가로줄 읽고 밑으로 내리고 또 가로로 읽고를 반복하는 책읽는 것 처럼 읽게 만드는 구성이다.
F패턴과 Z패턴
(출처 : [F-Shaped Pattern for Reading Content]와 [Z-Shaped Pattern For Reading Web Content]의 기사를 번역 및 가공한 콘텐츠입니다.) 모든 사용자는 사이트를 자세히 확인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읽지 않고 스캔합니
brunch.co.kr
- 별점시스템은 여러 문제가 있다. 많은 정보를 담지 못한다. 태그니티가 중요한 넷플릭스 특성상 별점보다는 얼마나 나한테 잘맞는지가 중요하다. 그래서 별점을 없애버렸다. 별점이 있으면 대부분 만점이라 만점인거는 눈에 안띄고 오히려 별점이 낮은거에 노이즈 마케팅이 된다. 작품 외적인 요소가 관여했거나 호불호가 갈리는 작품의 경우 별점이 지나치게 낮아지는 악영향도 있다.
넷플릭스는 왜 별점이 아니라 좋아요일까?
왓챠는 별점인데... | 해외 디자인 아티클 번역 뉴스레터 '디독' 구독링크: http://bit.ly/2FNQNpv 목차 1.별점을 버려야 할까? 2.사람들은 얼마나 자주 별점을 매길까? 3.UX에서 별점 시스템은 무엇을 뜻
brunch.co.kr
- 자막을 시도한게 긍정적이다. 배리어프리로 힘들게 영화봐야했던 청각장애인들도 편하게 볼 수 있고, 비장애인들도 보기 편하다. 소리에 집중하기 힘든상태 가령 무언갈 먹거나 떠들면서도 더 편하게 볼 수 있다.
- 넷플릭스 영상 제작의 투트랙, 사오기도 하면서 본인들이 만들기도 한다. 2가지로 분산투자 하는 것이다.
네이버 웹툰 (Naver Webtoon)
- 갈수록 Pc중심에서 모바일중심으로 옮겨가고 있다. 컷툰의 도래가 그렇다. 아예 컷툰을 이용한 연출(가로에서 세로로) 도 극단적으로 살린 예시 무적핑크 삼국지톡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titleId=711422&no=388) 증가하고 있다. 데스트탑에서는 이게 맛이 안산다. 모바일에서 잘산다.
- 모바일 컷툰의 경우 컷마다 댓글을 달 수 있다. 즉 웹툰 다보고 나서만 달아야 했던 예전보다 더 댓글이 활성화 되는 것이다. 웹툰 플랫폼 중에는 댓글이 없는 플랫폼도 있다. 하지만 네이버가 이렇게 한 것은 댓글도 자신들의 컨텐츠를 만들어 가는 일부라고 본것이다. 작품을 보는 것 뿐만아니라 같은 작품을 보는 사람들끼리 하나의 커뮤니티를 형성하게 해 조회수를 늘린다. 데스크탑에서는 컷툰마다 댓글을 볼수 없어 아쉽다.
- 넷플릭스와 마찬가지로 별점의 의미가 점점 작아지고 있다. 그래서 웹툰 모음에서 별점은 이제 눈에 띄는 색깔도 아니고 차지하는 크기도 훨씬 작아졌다. 반면에 썸네일은 커졌다
- 모바일은 데스크탑보다 세로로 화면이 길다. 그런데 몇년전에 웹툰들 썸네일이 세로로 길게 바뀌었다. 스크롤을 내리는 시간을 증가시키고, OTT 디자인과 비슷하게 해 익숙함을 주고, 썸네일을 보는 시간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노린 것 같다. 이렇게 썸네일 크기를 세로로 늘린데에는 한번에 보여주는 웹툰의 개수를 줄게 만들었고 선택지를 고의적으로 줄이는 효과를 주었다. 오히려 선택지게 적게 보이기 때문에 더 잘 고르게 할 수 있는 것이다.
- 연령층 자체가 예전에 웹툰을 보던 어린 사람들이 늙어서 보면서 전체적으로 예전보다 연령대가 증가했다. 그래서 옛날 작가들을 다시 불러와서 향수를 만족시키는 것 같다.
- 갈수록 네이버 웹툰도 수익 구조가 해외 진출을 노림과 동시에 영상화도 많이 노려서 일종의 OTT 기업과 비슷하게 공장화가 되는 것 같다. 이미 흥행이 검증된 웹소설을 웹툰으로 만드는 것도 이런 공장화의 일종 같다.
네이버웹툰, 글로벌 진출 가속화
네이버웹툰이 글로벌 웹툰 생태계 확장에 나서고 있다. 현지 정서를 담은 웹툰을 제공하고 한국 작품의 해외 진출을 도와, 한국 웹툰에 대한 주목을 확대하겠다는 포부다.30일 관련 업계에 따르
zdnet.co.kr
네이버웹툰, IP 밸류체인 본격화…공동제작 영상 28편 돌파
네이버웹툰이 웹툰을 드라마나 영화로 변환하고 영상 창작과정에 직접 참여하는 등 지식재산(IP)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있다. 웹툰은 이용자가 직접 생산하는 낮은 비용의 원천 IP다. 이러한 장점
www.etnews.com
- 이전에는 베스트 댓글을 되고 싶어하는 사람이 많았다. 그런 의미에서 MY PAGE에 내가 쓴 댓글 말고 내가 달았는데 베댓이 된 댓글 란도 있으면 좋겠다.
- 유료 결재 하는 재화를 '쿠키', '쿠키를 굽는다' 라고 표현한 것은 현질에 대해 훨씬 더 친숙하게 다가가기 위한 단어 선정 같다. 코인이었으면 훨씬 맛이 안살았을 거다.
- 쿠키 예약제가 있었으면 좋겠다. 이벤트로 쿠키를 받을 때마다 내가 어디에 쿠키를 지르고 싶어했는지 까먹는다.
- 만우절을 하나의 이벤트로 만든게 엄청 성공한 마케팅 같다. 이번 만우절 이벤트의 경우 컷속에 숨겨진 쿠키를 찾는 것 이었는데, 이전 화들을 뒤져보면서 다시 정주행을 하도록 유도한 치밀한 계산이 들어간 것 같다.
네이버 웹툰/만우절 이벤트
네이버 웹툰 의 만우절 이벤트에 대해 정리한 문서. 목록 2018년 파일:네이버웹툰만우절기념썸네일1.png 20
namu.wiki
- MY 페이지에 인생웹툰 선정 보관소 기능도 있었으면 좋겠다
- 최근에 작가탭을 열어 아예 인플루언서의 SNS 역할도 인스타나 블로그, 트위터 등으로부터 가져오려는 것 같다.
- 네이버 웹툰의 가장 큰 적은 불법만화사이트다. 이걸 막을 방법이 없다. 예전에는 짤방 문화가 있었다. 네이버 웹툰 컷을 캡쳐해서 맥락에 맞게 쓰는 것이다. 불법 만화를 막는 과정에서 이게 막혀버렸고, 그걸 아쉬워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짤방 따는 기능을 따로 만든것 같다.
'세상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정의란 무엇인가' 리뷰 (0) | 2025.03.05 |
---|---|
책 '공정하다는 착각' 리뷰 (1) | 2025.03.05 |
책 '숨' 리뷰 (3) | 2025.03.05 |
책 '죽음의 수용소에서' 리뷰 (1) | 2025.03.05 |
책 '만들어진 신' 리뷰 (0) | 2025.03.05 |